오열오사 - 생활속한방

- 08-24
- 624 회
- 0 건
현대의 최첨단 진단기기는 머릿속과 뱃속을 직접 보듯이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지만 한의학에서는 여전히 외부로 나타나는 관찰 결과를 진단에 중요한 정보로 삼고 있다.
즉 체내의 장부(臟腑)를 살필 때 외부로 드러나는 생리적, 병리적 현상을 종합해 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상(臟象)학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런 이론은 첨단기기가 발달한 현재까지도 유용성은 여전히 남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첨단기기로 관찰할 수 없는 미묘한 내용을 짐작하는데 오히려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다. 학자에 따라서는 첨단기기에 의존할수록 한의사의 진단감각이 무뎌짐을 지적하기도 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오열오사(五閱五使), 즉 얼굴에 있는 오관(五官)을 통해 신체내의 장부를 열람할 수 있고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기록돼 있다.
눈, 귀, 코, 혀, 입술을 장부와 각각 짝을 지워 설명하고 있다.
코는 폐(肺)의 상태를 반영하는데 폐가 병이 들면 호흡이 곤란해지고 콧방울이 넓어지고, 눈은 간(肝)과 연관되는데 간이 병들면 눈의 흰자위가 청색으로 변한다.
입술은 비(脾)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비가 병들면 입술이 황색으로 변하며, 혀는 심장(心臟)의 상태를 반영하고 심장이 병들면 혀가 수축돼 말하기 어렵고 광대뼈 부위가 적색으로 변한다. 귀는 신(腎)의 상태를 나타내며 신기능이 이상하면 광대뼈 부위와 이마가 흑색으로 변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요즘 임상에서도 비위(脾胃)가 허(虛)한 환자는 입술이 흰 색으로 변하고 입가에 흰 거품이 생기듯 침이 잘 고이고, 심장에 열(熱)이 있는 환자는 혀끝이 붉은 색을 많이 띠고 얼굴 전체가 불그스레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귀가 큰 사람은 신장이 튼튼하고 귀가 작고 검은 색인 사람은 신장이 허하고 귓바퀴가 튀어나온 사람은 간장이 허하다는 경험을 보고하는 한의사들이 많다.
외부의 현상만으로 내부의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지만 이를 참고하면 충분히 장부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과신해 환자의 중요한 호소를 소홀히 하고 불문진단(不問診斷)을 한다면 의사의 최선을 포기하는 격이 되므로 첨단 진단도 동시에 참고하고 있다.
- 매일신문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