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지방간, 적게 먹고 운동해야 - 자가처치법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정상적인 간에는 전체 중량의 5%에 해당하는 지방이 함유돼 있다.이 보다 많은 지방이 침착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한다. 최근 우리의 식생활이 윤택해지고 서구화하면서 지방간 환자가 늘고 있다.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건강진단을 받은 우리나라 성인남성의 약 30%, 성인여성의 약 15%에서 지방간이 발견됐다.

지방간의 원인은 다양하나 가장 흔한 것은 음주와 비만이다.지방간 환자는 대부분 과음습관이 있거나 비만이 관찰되며,두가지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

혈액내의 지방질 함량이 많은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부신피질호르몬 또는 여성호르몬 등의 약제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과음을 계속하면 지방간이 생기고, 나아가 알코올성 간염·간경변증으로 발전한다. 지방간은 알코올성 간질환중 가장 흔한 유형이다.

매일 20∼40g정도의 알코올(소주 1홉 또는 맥주 1,000㏄미만)을 며칠만 마셔도 지방간이 생길 수 있다. 알코올은 간에서 주관하는 지방질의 대사를 방해하므로 간에 기름이 끼고 붓게 된다. 이른바 애주가라고 자처하는 주당들의 과반수 정도가 지방간을 갖고 있다.간밤에 양주 한 병을 비우고도 끄떡없다고 자랑하는 사람들은 말 못하는 간이 속으로 골병들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대개 증상이 없다.있더라도 가슴 밑에 무엇인가 매달려 있는 것같은 불쾌감 정도이다. 신체검사나 다른 질환으로 병원에서 검진받다가 발견되는 수가 많다.신체검사 때 초음파검사를 하면 지방간은 쉽게 발견된다.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은 대부분 간이 부어 있다.간기능검사는 정상으로 나오는 수가 많지만 염증수치(GOT·GPT)가 약간 상승하기도 한다.이 경우에는 간조직 검사를 통해 만성간염과 구별해야 한다. 지방간은 간염이나 간경변과는 달리 간세포가 파괴되거나 섬유화로 간이 굳어진 것이 아니고 단지 간세포내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이다.따라서 원인을 제거하면 쉽게 정상으로 회복된다. 간세포내에 침착된 지방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는 3∼6주가 걸린다.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는 비만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간염 환자는 안정을 취하고 잘 먹어야 하지만, 지방간인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매일 몇시간씩 땀이 흠뻑 젖을 정도로 하는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식사량도 줄여야 한다.포만감이 오기 전에 수저를 놓는 게 바람직하다.당분이 많은 음료나 스낵류도 멀리 해야 한다 .

휴일에 집안에 눌러 앉아 군것질을 하면서 텔레비전을 보는 것은 좋지 않다.또 동물성 지방은 피하고 신선한 채소를 많이 먹는 채식주의자로 변신할 필요가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자신의 노력 정도에 따라 완치여부가 결정된다.무절제한 생활양식을 버리고 건강을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게 중요하다.돼지쓸개와 미나리를 이용하는 민간요법도 도움이 된다.

▽ 만드는 법

①돼지쓸개(제담)와 미나리 외에 인진과 산사 저령 등의 한약재를 준비한다.

②그늘에서 말린 돼지쓸개 1개와 인진 저령 산사 각 200g을 빻아서 가루로 만든다.

③미나리를 믹서기에 넣고 갈아서 즙을 우려낸다.

④꿀과 미나리즙을 ②와 섞어 팥알 크기의 알약을 만든다.1일 3회 20∼30알씩 복용한다.

- 국민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